📰 정션메드, 고령층 맞춤형 AI ‘케어봄’ 싱가포르 진출
국내 AI 헬스케어 기업 정션메드는 ‘케어봄’이 싱가포르에 진출했다. 케어봄은 음성을 통해 감정과 건강 데이터를 기록하는 고령자 맞춤형 AI 헬스케어 플랫폼이다. 정션메드는 싱가포르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과 협약을 맺어 케어봄 공급 프로젝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케어봄은 고령자의 감정과 건강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고 연동하여 통합 돌봄 환경을 제공한다. 노인복지관에서의 서비스 실증 연구 결과는 혈압·체중 감소와 복약 완료율이 높았으며, 돌봄 종사자들도 업무 효율을 개선할 수 있었다.
📰 복잡한 실전, 범용 AI로는 한계…”국방도 버티컬 AI 시대”
국방 분야에서는 보안과 실시간 분석·대응 능력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특정 임무에 최적화된 ‘버티컬 AI’가 필수적이다. 국방 인공지능 혁신 네트워크 행사에서 군산학연 전문가들이 국방 특화 AI의 개념과 기술 현황을 논의했다. 업무 복잡도에 맞춘 맞춤형 구조 설계가 중요하며, AI 전문가와 분야 전문가 간 협업이 필수적이다. 국방 분야에서도 범용 모델을 적용하기 어려운 만큼 특화된 AI가 필요하다. AI 기업들은 데이터 부족과 통신 제약을 고려한 AI 모델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위고비도 신세계였는데 이번엔…”한 달 뒤 끝판왕 온다” 들썩
국내 비만약 시장에서 마운자로 출시로 인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일라이릴리는 마운자로의 약가를 낮게 책정하여 시장에 진입할 예정이며, 국내 기업들은 마운자로의 유통을 놓고 경쟁 중이다. 위고비의 시장점유율을 능가하고자 하는 마운자로는 국내에서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후속 비만약 개발에 속도를 내며, 내년에는 국산 GLP-1 비만약이 시장에 진입할 예정이다. 전체적으로 비만약 시장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공급난 문제도 있어 고려해야 한다.
📰 “연차 날짜 회사가 정해요”…직장인들, 1년간 7일도 못 쉬었다
직장인 10명 중 3명은 1년간 휴가를 7일도 사용하지 못했으며, 개발 직군이 가장 많이 사용했다. 연간 휴가 일수가 7일 이하인 직장인 3명 중 1명으로 조사됐고, 연차 사용량은 8~14일이 가장 많았다. 연차 사용의 자유도에 차이가 있었고, 개발 직군이 가장 많이 사용했다. 서비스·고객지원 직군은 휴가를 적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조직 문화가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계자의 의견이 있었다.
📰 카카오 “LLM 韓 1위”…SKT “수학·코딩 향상”
국내 테크 기업들 사이의 대규모 언어모델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K-AI 브랜드 경쟁 과열로 ‘페이크 LLM’ 조심해야 함. 카카오는 카나나 1.5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성능 우수성을 강조. SK텔레콤도 A.X 3.1 모델을 발표하며 새로운 구조 연구 추진. 네이버클라우드와 LG AI연구원은 자체 기술력으로 선두에 있음. 이동통신 기반 AI 서비스 강점을 가진 SK텔레콤과 KT 주목받음. 해외 모델을 가져다 쓰는 ‘페이크 LLM’ 기업 등장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