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SI 브래킷 돌입…젠지, G2와 개막전서 대결
2025 MSI는 한국시간으로 2일부터 시작되는데, BLG와 G2가 플레이인을 통과하여 브래킷 대진표가 완성되었습니다. 젠지와 G2는 개막전에서 격돌하며, T1은 CFO와의 첫 대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브래킷 스테이지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며,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됩니다. MSI 결승전은 13일에 열리게 됩니다.
📰 박기호 대표 “제조·의료 버티컬 AI 유니콘 찾아 키워낼겁니다”
한국은 AI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3000억원을 산업별 AI 밸류체인에 투자해 유니콘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박기호 LB인베스트먼트 대표는 한국의 AI 서비스 역량을 강조하며, 테크 분야에 중점 투자할 3030억원 규모의 신규 펀드를 결성했다. 제조, 의료, 법률 분야에 AI를 적용하는 것을 강조하며, 기업 간 거래 영역에서 국내 기업이 선두주자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LB인베스트먼트의 투자 방식은 ‘HBM 전략’으로, 초기 투자한 기업에 후속투자로 이어가는 ‘선택과 집중’ 방식을 취하고 있다. 에이블리와 스탠다드에너지를 통해 성공적인 투자 사례를 보여주며, AI 분야에서도 선택과 집중 전략을 이어갈 것이라고 박 대표는 밝혔다.
📰 “원가 수준으로 의료기기 공급 못해” … 척추측만증 수술 멈췄다
병원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가 공급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심장 수술과 수두증 수술에 사용되는 기기들이 부족해져 의료 현장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국내 외국계 업체들이 한국 시장을 떠나거나 공급을 중단하면서 상황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들의 치료가 중단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와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이 지난해 조사한 결과, 공급 중단이 예상되는 품목은 100여 종에 달했습니다.
📰 韓, 필수 치료재료 공급가 20여년째 제자리
국내 필수 의료기기의 수가 체계가 선진국과 비교해 기술 혁신 보상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외국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 진출을 꺼리는 이유로 가격이 다른 나라를 기준으로 책정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 한국은 치료재료의 가격을 수십 년째 고정시키는 ‘치료 재료 상한제’에 묶여 있으며, 정부의 가격 통제로 인해 의료기기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혁신 치료재료는 가치평가제도를 통해 수가를 높일 수 있지만 혜택을 받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의료기기업계와 환자단체는 건보 비급여 대상으로 신기술이 적용된 기기를 지정해 환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자 요구하고 있다.
📰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 낮은 수익성에 ‘脫한국’
국내 의료기기 개발은 세계적으로 성공하나 국내 공급에 어려움이 있음.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의 내시경 분말지혈제는 미국과 유럽에서 판매되지만 국내에서는 건강보험 급여 기준으로 인해 공급이 제한됨. 국내 의료AI 기업들도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보건복지부의 비급여 상한제로 인해 수익성이 어려워지고 있음. 해외에서는 의료AI의 도입이 빨라지고 있지만 한국은 보상체계가 부족해 의료기관들이 도입을 꺼리고 있음.
0개의 댓글